"어디서 패턴 배운 적 있어요?" "어디서 패턴 배운 적 있어요?"라는 교수님의 이 질문이 지금에 나를 패턴사로 만들었다. 다른 사람들은 취업 준비할 대학교 4년에 난 배우고 싶은 걸 열심히 배우고, 공부하고 있었다. 내가 이랬던 적이 있었나? 할 정도로 능동적이었고, 발걸음에 힘이 느껴졌다. 패션 관련 여러 수업을 들었는데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이 몇 가지 있다. 그중 하나는 매주 패션 관련 프레젠테이션을 하는 수업이었다. 매주 정해진 패션 관련 주제를 파워포인트로 준비를 해, 매주 전체 학생이 돌아가며 사람들 앞에서 발표를 하는 수업이었다. 그때 그 교수님이 하신 말씀이 기억에 많이 남는다. "누노 씨는 MD 쪽을 해보는 게 어때요? 아이디어들이 남다르며, 물리 전공이라 수학이나 통계 쪽도 괜찮을 것 ..
"패션회사가 어떻게 재택근무로 돌아가지?" 코로나 사태가 일어난 지 3개월이 지나간다. 3개월 동안 코로나라는 녀석은 세계 곳곳 많은 것들을 바꾸어 놓았다. 그중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직원들의 재택근무로도 회사가 돌아간다는 것이다. 누군가는 의아해할 것이다. "어떻게 패션 회사가 재택근무로 돌아가지?" "피팅은?" "패턴사가 어떻게 재택근무를 하지?" 라며 말이다. 이번 코로나로 인해 모든 것이 증명되었다고 할 수는 없으나, 가능성(?)이 보였다는 것이다. 모든 매장들이 문을 닫았고, 사무실엔 아무도 나오지도 않았는데, 회사는 잘 돌아가고 있으며, 현재는 코로나 사태 이전보다 더욱 승승장구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말은 즉슨, 앞으로 회사 사무실에서의 근무는 필요가 아니라 선택이 될 수 있다란 뜻..
"인종이 다양하다는 말은 체형도 다양하다는 뜻이다." 한국의 사이즈는 이곳 북미의 사이즈에 비하면 참으로 단순하다고 볼 수 있다. 44, 55, 66, 77(아직도 이 사이즈를 사용하는지는 모르겠다. 또는 S, M, L, XL 정도이다. 하지만 이곳 캐나다 아니 북미의 사이즈는 정말로 다양하다. 많은 인종의 사람들이 살고 있는 만큼 사이즈의 종류도 다양하다. 회사 기준의 사이즈를 보면(여성복 기준) 가장 먼저 Missy와 Women으로 나누어진다. Missy는 일반 여성 Women은 빅 사이즈의 여성을 위한 옷이다. 그다음 Missy는 0, 2, 4, 6, 8, 10, 12, 14, 16, 18, 20, 22, 24 정도까지 나누어지는데 내가 다니는 회사(중장년 이상이 타깃)는 사이즈 6부터 24 정도까..
일년에 두번!!! 주말에 출근!!! 어제는 토요일이지만 출근을 했다.그 전날 금요일은 패션쇼 였다.난 수요일에 이미 리허설에서 모든 옷들을 봤고, 그 자리에서 모델들의 핏도 봤으니 패션쇼는 가지 않았다.(언젠가부터 리허설은 내가 가서 핏을 보게 되었다)이 회사에 들어와 첫 패션쇼과 작년 50주년 패션쇼 말고는 가질 않았다.(처음은 기대로 갔고, 50주년은 기념해서 갔다) 이 회사는 일년에 두번(각각 2주씩) PDC(Product Development Committee)라고 해서다음 시즌을 위한 준비기간이며, 한국으로 치면 일종의 품평회 같은 거라 보면 된다.이때가 되면 모여서 토론을 하고, 디자인 개발을 하고, 방글라데시나, 중국에서 많은 협력업체들도 참여하여미팅을 하고, 서로 개선사항을 주고 받는다.그..
"캐나다 구스는 원래 스노우 구스였다" 출처: 위키피디아 캐나다 대표 패션 브랜드 중 하나를 꼽으라면 캐나다 구스를 빼놓을 수 없다.여전히 세계적으로 겨울 자켓으로 승승장구를 하고 있으며,성공의 이유 중 하나를 꼽으라면, 그들은 여전히 캐나다내 생산을 고집한다는 것이다.높은 생산 단가와 높은 판매 가격에도 불구하고그들이 여전히 승승장구하며 최저 임금이 비싼 캐나다내 생산을 하면서도 여전히 캐나다에 살아 남아 있는 캐나다 대표 패션 브랜드다. 캐나다 구스는 1957년 폴란드계 유태인 Sam Tick이라는 사람에 의해 만들어 졌으며,그 당시 회사이름은 Metro Sportswear LTD였다. 그 당시엔 베스트, 비옷, 스노우 모빌 수트등을 만들었으며,1970년대가 되면서 드디어 다운이 들어간 자켓을 만들기..
"살찌는 거라서 난 안 먹어!!!" 오늘은 월요일이며, 작은 눈이 내리는 날이였으며세달에 한번 있는 팟럭 데이다. 팟럭(Pot luck) 데이는 각각 음식을 가져와 나눠 먹는 것을 말한다. 우리 각각 가져올 음식들을 제비 뽑기로 뽑아 가져 오는데 에피타이져, 메인요리, 샐러드, 디져트, 일회용 접시 포크, 냅킨 등등을 가져온다.이번엔 디져트다. 이것이 은근 스트레스다.에피타이져라도 걸리면 에피타이져 개념이 없는 한국 사람인 내겐 엄청난 스트레스다. 디져트는 그나마 다행이다.달달한걸 해가면 되고,이 곳 사람들은 생각보다 더 달달한걸 좋아하니 말이다. 그래서 이번 디져트는 이걸로 정했다.짠~!!! 하얀 생크림 푸딩 위에 설탕 대신 꿀로 만든 딸기쨈을 얻어투명 소스 통에 담았다. 이쁘다~! 드디어 점심이 되었..
"넌 군대 체질이야!!!" 2019/02/22 - [나는 패턴 메이커다.] - 나는 패턴 메이커다 - 03 난 계급 사회를 싫어한다.직장내의 수직 관계 또한 좋아하지 않는다.굽실거리며, 사탕발림 소리도 싫어한다.군대, 회사뿐만 아니라 학교에서도 그랬다.그래서 학교 선배나 회사 상사들과는 친하지 않았다. 내가 캐나다로 온 많은 이유들 중 하나가 수직 관계를 싫어하는게 큰 부분을 차지하리라 생각된다. 하지만 나에겐 선택은 없었다. 무조건 군대는 가야하기에, 논산 훈련소에서 8주의 훈련을 받는 동안 별탈 없었다. 초, 중,고를 시골에서 자랐다 보니, 군 생활은 그다지 힘들지 않았다. 남들보다 오래달리기도 잘했고, 군장을 매고 몇십 킬로를 걸어도 물집 하나 안 잡혔고,(4월 행군할적에 딸기 밭을 지날때 그 달콤..
"캐나다 세금 환급이 시작 되었다" "세금 환급은 이렇게 하자!!!"바로가기 캐나다는 한국보다 대략 두배 정도의 세금을 낸다. 하지만 그 만큼 돌려받기도 하며, 때론 세금을 토해내야하기도 한다. 세금을 기대했던것 보다 무척이나 많이 돌려 받은 적도 있었고, 세금을 토해내야했던 적도 있었는데 싱글인지, 아닌지에 따라 세금 혜택이 달라져세금을 더 내야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먼저 세금 환급을 위해 필요한것들이 있으며, 난 온라인 프로그램을 통한 세금 환급을 기준으로 말하는것이다.온라인으로 세금 환급 신청을 하면 2주만에 받을 수있고, 서류로 신청을 하면 최대 8주가 걸린다고 한다. 먼저 세금 환급 전 본인이 작년에 일했던 회사들(이직을 했다면), 아니면 현재 일하는 회사로 부터 T4라는 용지를 받아야 한..
- Total
- Today
- Yesterday
- 화상피팅
- Jamieson
- 밴쿠버
- 그레이딩
- 캐나다
- 캐나다 #패턴사 #블로그 #위니펙 #밴쿠버 #새직장 #토론토 #설레임
- #패턴사
- 캐나다 생활
- 캐나다 택스리펀
- 패턴메이커
- 캐나다 패턴사
- 나는 패턴 메이커다
- 나는패턴메이커다 #디자인 #캐나다패턴사 #패션 #복수전공
- 위니펙
- 패션
- 패턴사
- 군 생활
- 캐나다패턴사
- 영어로 전화통화
- 그레이딩사
- 캐나다 CRA
- 나는 패턴메이커다
- 캐나다 세금 환급
- 나는패턴메이커다
- 나는 패턴 메이커다.
- 패턴전문학원
- 모델리스트
- tim hortons
- 캐나다 #주말 #일상 #시간절약
- #캐나다일상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